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금융감독원이 2조원이 넘는 거액이 시중은행 2곳을 통해 중국과 일본으로 넘어간 수상한 외환거래 사건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은행을 통해 4천억 원을 송금한 한 중소업체는 이미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있는데요. <br> <br>구자준 기자가 금융당국의 조사와 검찰 수사 상황, 그리고 업체의 실체를 추적한 현장 취재 내용 차례로 보도하겠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채널A가 확인한 우리은행의 내부 보고 내용입니다. <br> <br>서울의 지점 한 곳에서 발생한 외화송금 사건을 정리해놨습니다. <br><br>지난해 9월부터 올해 6월까지 5개 업체가 460여 차례에 걸쳐 7억 6백만 달러, 우리돈 약 8천 5백억 원을 해외 송금한 걸 확인했다는 내용입니다. <br><br>송금은 업체들이 인터넷 뱅킹으로 신청했는데, 지난달 우리은행 내부 조사를 거쳐 일주일 만에 금융감독원에 보고됐습니다. <br> <br>금감원은 보고 사흘 만에 전격 현장 검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<br>비슷한 시기 신한은행에서도 이상한 외환거래가 자체 조사에서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2개 지점을 통해 1조 3천억 원에 이르는 해외 송금이 이뤄진 겁니다. <br> <br>주로 중국과 일본으로 보내진 돈이었습니다. <br><br>시중은행 두 곳에서 2조 원 넘는 수상한 외환 거래가 포착되자 금감원은 점검 대상을 은행권 전체로 확대했습니다. <br> <br>이복현 금감원장 지시로 다른 은행에서도 유사한 거래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집중 조사에 들어간 겁니다. <br><br>금감원 검사가 끝나면 검찰의 대대적인 수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><br>이미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거래도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은행 지점을 통해 4천억 원을 수입대금 명목으로 해외로 보낸 업체를 상대로 대구지검이 수사에 나선 겁니다. <br><br>도대체 어떤 회사길래 이런 거액을 해외로 송금한 건지, 제가 직접 이 업체를 찾아가 봤습니다.<br><br>수도권에 있는 아파트.<br><br>검찰이 이상 해외송금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A 업체의 본사로 등록된 곳입니다.<br><br>A사의 법인 등기에는 지난해 4월 부산에서 설립됐고, 올해 4월 이곳으로 사업장을 옮겼다고 적혀 있습니다.<br><br>그런데 정작 이 아파트는 평범한 가정집이었고, 집주인은 해당 업체 이름조차 처음 들어본다고 했습니다. <br><br>[집주인]<br>"(귀금속 취급하시는 업체 아니세요?) 네, 아닙니다. 무슨 회사요? 전혀 모르는데요. 저희가 이사 온 지 한 2년 됐는데"<br><br>주인이 이 집을 산 건 지난 2020년 8월.<br><br>올해 4월 A사의 본사 주소로 등록된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있었습니다.<br><br>이번에는 A사 법인등기에 있는 대표의 집 주소를 찾아가 봤습니다.<br><br>술집과 식당이 밀집한 거리의 상가건물 지하였습니다.<br><br>대표의 자택 주소는 실내 야구와 사격을 하는 게임장인데, 영업을 멈춘 지 한참 됐는지 쓰레기와 전선이 널려 있습니다.<br><br>출입문 역시 굳게 잠겨 있습니다.<br> <br>업체 대표에게 온 우편물에는 뽀얗게 먼지가 앉아있습니다.<br><br>건물 관계자는 A사 대표가 지난해까지 이 게임장을 운영했다고 말합니다.<br><br>[상가 건물 관계자]<br>"예전에 지하 사장님이셨어요. 게임장 영업을 하셨어요. 지금은 폐업하고 나가셨어요."<br><br>A사 법인 등기에는 귀금속 도소매업과 무역을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.<br><br>해당 업체는 4천억 원 대 해외송금은 금괴 등 수입물품 대금 결제 목적이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><br>검찰은 이 업체의 실체가 불분명하다고 보고 4천억 원의 주인과 성격, 최종 수령자를 찾아내기 위해 자금을 추적하고 있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구자준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강철규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구자준 기자 jajoonneam@donga.com